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꽃무릇
- 해바라기
- 초롱꽃
- 구슬봉이
- 비비추
- 으름
- 물봉선
- 검종덩굴
- 무궁화꽃
- 해비라기
- 모란#목단
- 백일홍
- 개망초
- 덩굴박주가리
- 해국
- 노랑망태버섯
- 옥잠난초
- 타래난초
- 흰망태버섯#뻐국나리#물향기수목원
- 꽃이 좋아 산과 들로
- 광릉요강꽃#복주머니난
- 변산바람꽃#노루귀#진달래#모란#빅토리아연꽃#
- 구절초
- 처녀치마
- 참나리꽃
- 범부채
- 반포대교#분수쇼
- 청노루귀
- 금불초
- 해바라기꽃 그림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7)
송화백

우리 집 화분에서 월동을 하고 피어난 해국 해국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해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 햇볕이 잘 드는 암벽이나 경사진 곳에서 자라며 키는 30~60cm이고 잎은 양면에 육모가 많으며 어긋난다. 겨울에도 상단부의 잎은 고사하지 않고 남아 있는 반상록 상태다 꽃은 연한 자주색으로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고 지름은 3.5~ 4cm이다 잎은 풍성하게 많으며 끈적거리는 감이 있어서 여름철에 애벌레가 많이 꼬인다 . 꽃은 8월~ 11월 초 개화한다. 해국에 꽃말은 기다림 입니다

노랑 망태버섯은 버섯갓의 내면과 버섯대 위쪽 사이에 순백색의 망사 모양의 망태가 확 퍼져 내려와 밑부분은 땅까지 내려와서 화려한 레이스를 쓴것 같이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루의 길이는 15 ~ 18cm이고 굵기는 2~3cm로 표면은 황백색이고 매끄럽지 않습니다. 밑부분에는 올리브색의 점액성 물질이 덮여 있는데 여기에서 고약한 냄새가 납니다 9시반쯤 부터 시들기 시작합니다 아는 지인으로부터 관악산에 망태버섯이 핀다는 소식을 듣고 아침 7시에 도착하여 10시까지 망태버섯이 피기 시작해서 시들기까지를 촬영했습니다 모기가 엄청 많아 고생을 했습니다

빅토리아 연꽃의 특징 빅토리아 연꽃의 거대한 잎은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집니다. 잎의 직경은 최대 3m에 달할 수 있으며 아기를 포함한 여러 사람이 함께 앉아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함을 자랑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사람이 위에 올라가는 것은 잎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빅토리아 연꽃은 세계에서 가장 큰 연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연꽃은 두 주요 종 빅토리아 아마조니카와 빅토리아 크루즈 하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빅토리아 연꽃의 주요 특징 큰입이 꽃의 잎은 매우 크며 직경이 3m에 달할 수도 있습니다. 잎은 둥글고 가장자리가 높게 올라와 있어 잎새 속에 물이 고이지 않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꽃 빅토리아 연꽃의 꽃은 화려하게 피며 첫날밤에는 흰색으로 피다가 다음 날..

해바라기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입니다.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16세기에 유럽으로 전래되었습니다 . 한국에서는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해바라기의 키는 1~3m 정도이며, 줄기는 곧추서고 굵습니다. 잎은 어긋나게 나며,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합니다. 꽃은 두상화로, 지름이 10~30cm 정도 됩니다. 꽃잎은 노란색으로, 가운데에는 검은색의 암술과 수술이 있습니다. 해바라기는 꽃이 아름답고, 씨앗이 많이 나기 때문에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관상용: 해바라기는 노란색 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습니다. 공원이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식용: 해바라기 씨앗은 식용으로 쓰입니다. 볶아서 먹거나, 기름을 짜서 먹습니다. 해바라기 씨..

맨드라미는 줄 기는 높이 90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붉은 빛을 띤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7월에서 8월에 원줄기 끝에 닭의 벼슬처럼 생긴 꽃이 핀다 꽃말은 치정, 괴기 ,영생 ,시들지 않는 사랑이다

꽃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어린잎은 나물로 먹기도 하고 꽃, 뿌리, 잎을 각각 약재료 사용하는 쓰임새가 다양한 꽃입니다 산나물로 먹을 때 거품이 나올 때까지 손으로 비벼서 먹는다고 하여 비비추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꽃말은 좋은 소식.신비로운 사람 .하늘이 내린 인연입니다 2023.07.20. 올해도 화분에서 어김없이 꽃을 피워 주고 있답니다 사랑해 비비추야.